이제 물리적인 공간에서 직접적으로 만나고 소통하는 시대는 끝났습니다. 최소한 Z세대에서는 확실합니다.
공간이 의미가 달라졌습니다. 코로나가 많은 것을 힘들게 하고 퇴보시켰지만, 이렇게 진보시킨 것도 있습니다. 기술입니다. 혁신가들이 이동을 못 하는 시대에, 책상에서 더 많은 것을 만들어 냈습니다.
메타버스는 매우 새롭습니다. 올해 메타버스란 책이 출간되는 등, 큰 물결이 일고 있습니다. 메타(Meta)는 ‘무엇의 너머’를, 버스(verse)는 우주의 끝을 의미합니다. 우주의 너머에는 도대체 뭐가 있을까요? 메타버스는 가상과 현실, 실제 보이는 것과 그렇지 않은 것의 모든 합을 의미합니다. 현실과 가상의 경계가 사라져 버린.. 그래서 게임에 친숙한 10대들이 오히려 쉽게 이해하는 바로 그 세계입니다. 수많은 10대 친구들이 이미 네이버의 제페토를 즐기고 있으니까요.
메타버스는 1992년 미국 작가 닐 스테판슨의 과학 소설 ‘스노우 크래시(Snow Crash)를 통해서 처음 소개된 이후로 지난 20여 년간 공상 과학 소설들을 통해서, 간간이 알려져 왔습니다. 하지만, 최근 AR, 3D, AI 기술이 융합적으로 발전하고, 게임 산업이 커지면서, 메타버스는 가상의 미래를 몇 년 더 빨리 오게 했습니다. 이제 학생들은 가상의 세계에서 입학식을 즐기고, 광고에는 가상의 모델이 출연하며, 그 가상의 모델은 인플루언서가 됩니다. 때때로 사회 문제를 일으킨 기존의 인기 광고 모델은 가상의 모델과 경쟁하게 되겠죠. 이미 우리는 부캐(부캐릭터)를 즐기고, 멀티 캐릭터를 잘 활용하는 시대에 있습니다.
혹시 여러분이 DMS 광고를 보셨다면 아시겠지만, '루이'가 바로 가상 모델입니다. 미래에는 더 많은 루이가 만들어질 것으로 보입니다. 아직 못 보셨다면, 아래 루이 영상을 만나보시기 바랍니다. 진짜 사람 같나요? 그렇게 보입니다. 그러나 루이는 물리적 세상에는 없습니다.